아프리카 개발 은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프리카 개발 은행(AfDB)은 아프리카 국가의 경제 발전과 사회 진보를 촉진하기 위해 설립된 다자간 개발 은행이다. 1963년 설립되었으며, 아프리카 대륙 내 단결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AfDB는 아프리카 개발 기금(ADF)과 나이지리아 신탁 기금(NTF)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운영되며, 회원국들의 사회 경제적 발전을 위한 대출과 지분 투자를 제공하고 기술 지원, 개발 정책 수립 지원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현재 아프리카 54개국과 아메리카, 유럽, 아시아 26개국 등 80개 회원국을 보유하고 있으며, 나이지리아가 최대 주주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리카의 경제 - 아프리카 경제 공동체
아프리카 경제 공동체는 아부자 조약에 따라 아프리카 경제 통합을 목표로 설립되었으며, 지역 경제 공동체를 기반으로 여러 통합 단계를 거쳐 2028년까지 경제 통화 동맹 및 의회 설립을 추진하고 있지만, 회원국 중복 가입 및 지역별 진행 상황 차이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아프리카 자유 무역 지대와도 관련되어 있다. - 아프리카의 경제 - 중앙아프리카 은행
중앙아프리카 은행(BEAC)은 중앙아프리카 경제 공동체 회원국의 중앙 은행으로, 1972년 프랑스와의 금융 협약에 따라 설립되어 1973년 운영을 시작했으며, 6개국을 회원국으로 두고 카메룬 야운데에 본사를 둔다. - 대한민국의 조약 - 한일기본조약
한일기본조약은 1965년 한국과 일본이 국교를 정상화하기 위해 체결한 조약으로, 청구권 문제, 독도 문제 등을 포함하며 한국이 대일 청구권을 포기하는 대신 일본으로부터 경제협력을 받는 내용을 담고 있지만, 과거사 청산 미흡과 경제적 양보 논란을 야기하며 현재까지도 양국 간 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조약 - 한미상호방위조약
한미상호방위조약은 한국 전쟁 휴전 직후 대한민국과 미국이 체결한 군사 동맹 조약으로, 주한미군 주둔을 통해 한국의 안보, 정치, 경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주한미군과 작전통제권 관련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유엔 총회 옵서버 - 아프리카 연합
아프리카 연합은 아프리카 대륙의 거의 모든 독립국가를 회원국으로 하는 정부간 국제기구이며, 경제 통합과 정치적 안정을 증진시키고 아프리카 대륙의 통합을 목표로 하며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 본부를 두고 있다. - 유엔 총회 옵서버 -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은 1967년 반공주의를 바탕으로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5개국이 설립한 국제기구로, 냉전 종식 후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가 가입하여 현재 10개국 체제를 유지하며 경제 통합 및 동아시아 지역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나, 역내외 안보 및 인권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아프리카 개발 은행 | |
---|---|
개요 | |
명칭 | 아프리카 개발 은행 |
로마자 표기 | African Development Bank |
프랑스어 명칭 | Banque africaine de développement |
약칭 | AfDB |
슬로건 | Building today, a better Africa tomorrow (오늘 건설하여 더 나은 아프리카를 내일로) |
![]() | |
설립 | |
설립일 | 1964년 9월 10일 |
유형 | 국제 기구 |
지위 | 조약 |
목적 | 지역 개발 |
본부 | |
위치 | 아비장, 코트디부아르 |
조직 | |
가입국 | 81개국 |
주요 기구 | 이사회 |
총재 | 아킨우미 아데시나 |
직원 수 | 2022년 12월 31일 기준 2,123명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아프리카 개발 은행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식민지 시대가 종식된 후 아프리카 대륙에서 더 큰 단결에 대한 열망이 커지면서 아프리카 통일 기구 설립과 지역 개발 은행 설립을 위한 두 개의 헌장 초안이 마련되었다. 유엔 아프리카 경제 위원회(UNECA)는 1963년 수단 하르툼에서 아프리카 개발 은행 설립에 관한 회의를 소집했고, 23개 아프리카 정부가 협정에 서명하면서 1964년 9월 10일 아프리카 개발 은행(AfDB)이 설립되었다.[1]
은행의 첫 이사 회의는 1964년 나이지리아 라고스에서 열렸고, 1965년 코트디부아르 아비장에 본부를 열었으며, 1966년 7월 1일에 정식으로 업무를 시작했다. 초기에는 아프리카 국가만 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었으나, 1982년부터 비아프리카 국가의 가입도 허용되었다.[1]
2. 1. 설립 배경
식민지 시대가 종식된 후, 아프리카 대륙 내에서 더 큰 단결을 이루고자 하는 열망이 커졌다. 이에 따라 두 개의 헌장 초안이 마련되었는데, 하나는 아프리카 통일 기구(1963년 설립, 이후 아프리카 연합으로 대체) 설립을 위한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지역 개발 은행 설립을 위한 것이었다.초안 협정은 아프리카 고위 관계자들에게 제출되었고, 이후 유엔 아프리카 경제 위원회(UNECA)가 수단 하르툼에서 1963년 7월 31일부터 8월 4일까지 소집한 아프리카 개발 은행 설립에 관한 재무 장관 회의에 제출되었다. 1963년 8월 4일, 23개 아프리카 정부가 아프리카 개발 은행(AfDB) 설립 협정에 공동 서명했고, 이 협정은 1964년 9월 10일에 발효되었다.[1]
2. 2. 초기 운영 및 발전
식민지 시대가 종식된 후 아프리카 내 단결에 대한 열망이 커지면서 아프리카 통일 기구(1963년 설립, 후에 아프리카 연합으로 대체)와 지역 개발 은행 설립을 위한 두 개의 헌장이 마련되었다.아프리카 고위 관계자들에게 제출된 초안 협정은 이후 유엔 아프리카 경제 위원회(UNECA)가 수단 하르툼에서 1963년 7월 31일부터 8월 4일까지 소집한 아프리카 개발 은행 설립에 관한 재무 장관 회의에 제출되었다. 1963년 8월 4일, 23개 아프리카 정부가 아프리카 개발 은행(AfDB) 설립 협정에 서명했고, 이 협정은 1964년 9월 10일에 발효되었다.
은행의 이사 첫 회의는 1964년 11월 4일부터 7일까지 나이지리아 라고스에서 개최되었다. 1965년 3월 코트디부아르 아비장에 본부를 열었고, 1966년 7월 1일에 업무를 시작했다.
1982년, 이전에는 아프리카 국가만 가입이 가능했지만, 비아프리카 국가의 가입을 허용하기 시작했다. AfDB에 따르면 비지역 회원국의 참여는 저금리 대출, 추가적인 은행 전문 지식 및 역외 시장 접근을 통해 경제 및 사회 발전에 기여했다.[1]
코트디부아르 내전으로 인한 정치적 갈등 때문에 2003년 2월부터 2014년 9월까지 튀니지 튀니스에 임시 이전 사무소를 두고 운영되었다. 2013년 말 정치적 위기가 종료된 후 아비장의 본부로 복귀했다. 2015년 6월까지 1,900명 이상의 전체 직원 중 1,500명 이상이 아비장 본부로 복귀했다.[1]
AfDB는 설립 이후 총 475억달러에 달하는 2,885개의 사업에 자금을 지원했다. 2003년에는 주요 금융 신용평가기관으로부터 AAA 등급을 받았고, 자본금은 320.43억달러였다. 2019년 11월, 은행의 자본금은 2080억달러로 보고되었다.[1]
아프리카 개발 은행(AfDB)의 2022년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아프리카의 GDP 성장률은 전년도 4.8%에서 3.8%로 감소했다. 저금리 대출과 보조금을 제공하는 아프리카 개발 기금(ADF-16)의 16차 보충은 89억달러를 모금하여 상당한 재정적 강화를 제공했다. 이 금액 중 4.29억달러는 아프리카 기후 변화 기금(ACCF)에 지정되어 기후 변화 관련 계획에 사용되었다. 은행의 프로젝트 승인 금액은 UA 61억 6천만 달러에 달했는데, 이는 2019년의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기준인 UA 73억 달러에 근접한 수치이다. 5대 전략적 우선 분야에서 자금 지원이 크게 증가했으며,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는 에너지 생산 프로젝트 승인의 100%를 차지하면서 주목할 만한 강조를 받았다. 다른 주요 분야에 대한 투자도 증가하여 식량 안보에 UA 13억 4천만 달러, 산업화에 UA 15억 9천만 달러, 인프라에 UA 11억 3천만 달러가 투자되었다. 은행의 활성 포트폴리오는 UA 443억 3천만 달러로 성장했으며, 프로젝트의 58%가 만족스러운 평가를 받았다. 해당 연도의 지출은 총 UA 35억 달러였으며, 은행은 AAA 신용 등급을 유지했다.[1]
2. 3. 코트디부아르 내전과 임시 이전
코트디부아르 내전으로 코트디부아르의 정치적 갈등이 지속되자, 아프리카 개발 은행은 2003년 2월부터 2014년 9월까지 튀니지 튀니스에 임시 이전 사무소를 두고 운영되었다.[5] 2013년 말 정치적 위기가 종료된 후, 코트디부아르 아비장에 있는 원래 본부로 복귀하였다.[5] 2015년 6월까지 전체 직원 1,900명 이상 중 1,500명 이상이 아비장 본부로 복귀했다.[6]2. 4. 최근 동향
2003년 2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은행은 코트디부아르 내전으로 인해 코트디부아르의 정치적 갈등이 지속되면서 튀니지 튀니스에 임시 이전 사무소를 두고 운영되었다. 이후 정치적 위기가 종료되자 2013년 말에 아비장에 있는 원래 본부로 복귀했다.[5]2015년 6월까지 1,900명 이상의 전체 직원 중 1,500명 이상이 은행의 아비장 본부로 복귀했다.[6]
AfDB는 설립 이후 총 475억달러에 달하는 2,885개의 사업에 자금을 지원했다. 2003년에는 주요 금융 신용평가기관으로부터 AAA 등급을 받았고, 자본금은 320.43억달러였다. 2019년 11월, 은행의 자본금은 2080억달러로 보고되었다.[7]
아프리카 개발 은행(AfDB)의 2022년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아프리카의 GDP 성장률은 전년도 4.8%에서 3.8%로 감소했다. 저금리 대출과 보조금을 제공하는 아프리카 개발 기금(ADF-16)의 16차 보충은 89억달러를 모금하여 상당한 재정적 강화를 제공했다. 이 금액 중 4.29억달러는 아프리카 기후 변화 기금(ACCF)에 지정되어 기후 변화 관련 계획에 사용되었다. 은행의 프로젝트 승인 금액은 UA 61억 6천만 달러에 달했는데, 이는 2019년의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기준인 UA 73억 달러에 근접한 수치이다. 5대 전략적 우선 분야에서 자금 지원이 크게 증가했으며,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는 에너지 생산 프로젝트 승인의 100%를 차지하면서 주목할 만한 강조를 받았다. 다른 주요 분야에 대한 투자도 증가하여 식량 안보에 13.4억달러, 산업화에 15.9억달러, 인프라에 11.3억달러가 투자되었다. 은행의 활성 포트폴리오는 UA 443억 3천만 달러로 성장했으며, 프로젝트의 58%가 만족스러운 평가를 받았다. 해당 연도의 지출은 총 UA 35억 달러였으며, 은행은 AAA 신용 등급을 유지했다.[8]
3. 구성
아프리카 개발 은행 그룹에는 아프리카 개발 은행(AfDB), 아프리카 개발 기금(ADF), 나이지리아 신탁 기금(NTF)이라는 세 개의 기구가 있다.
4. 회원
아프리카 개발 은행(AfDB)은 아프리카 지역 회원국과 비지역 회원국으로 구성된다. 2021년 9월 기준, 투표권 상위 20개 국가는 다음과 같다.[37]
순위 | 국가 | 투표권 (% 합계) |
---|---|---|
'세계' | 100.000 | |
1 | 나이지리아 | 10.077 |
2 | 미국 | 7.581 |
3 | 일본 | 6.284 |
4 | 남아프리카 공화국 | 5.863 |
5 | 알제리 | 5.758 |
6 | 독일 | 4.779 |
7 | 캐나다 | 4.395 |
8 | 모로코 | 4.386 |
9 | 프랑스 | 4.299 |
10 | 이집트 | 3.062 |
11 | 이탈리아 | 2.780 |
12 | 가나 | 2.749 |
13 | 가나 | 2.552 |
14 | 영국 | 2.083 |
15 | 코트디부아르 | 1.988 |
16 | 스웨덴 | 1.802 |
17 | 스위스 | 1.683 |
18 | 케냐 | 1.660 |
19 | 중국 | 1.389 |
20 | 리비아 | 1.351 |
아프리카 연합은 나이지리아 신용기금 지원 자격이 있으며, 모로코는 아프리카 연합 회원이 아니더라도 지원 자격이 있다.[36]
4. 1. 지역 회원국
아프리카 개발 은행(AfDB)의 지역 회원국은 아프리카 대륙의 국가들로 구성된다. 이들은 AfDB의 주요 수혜 대상이며, 아프리카 개발 기금(ADF)의 지원도 받을 수 있다.아프리카의 독립국 53개국이 지역 회원국에 해당하며, 모리타니를 포함하여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을 제외한 아프리카 연합의 모든 국가는 NTF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비지역 회원국은 아프리카 대륙 외의 국가들로, 대한민국을 비롯하여 일본,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중국, 인도, 튀르키예, 브라질 등 24개국이 참여하고 있다.
비 아프리카 회원 국가 |
---|
4. 1. 1. AfDB 수익자 국가
'''아프리카 개발 은행 수익자 국가'''는 다음과 같다.
아프리카 개발 은행 수익자 국가 |
---|
'''아프리카 개발 기금 수익자 국가'''는 다음과 같다.
아프리카 개발 기금 수익자 국가 |
---|
'''아프리카 개발 은행과 아프리카 개발 기금 수익자 국가'''는 다음과 같다.
아프리카 개발 은행과 아프리카 개발 기금 수익자 국가 |
---|
4. 1. 2. ADF 수익자 국가
아프리카 개발 기금(ADF) 수익자 국가 |
---|
4. 1. 3. AfDB와 ADF 동시 수익자 국가
아프리카 연합은 나이지리아 신용기금 지원 자격이 있으며, 모로코는 아프리카 연합 회원이 아니더라도 지원 자격이 있다.[36]
4. 2. 비지역 회원국
비아프리카 회원국 |
---|
4. 3. 주요 출자국 (상위 10개국)
순위 | 국가 | 투표권 (%) |
---|---|---|
1 | 나이지리아 | 10.077 |
2 | 미국 | 7.581 |
3 | 일본 | 6.284 |
4 | 남아프리카 공화국 | 5.863 |
5 | 알제리 | 5.758 |
6 | 독일 | 4.779 |
7 | 캐나다 | 4.395 |
8 | 모로코 | 4.386 |
9 | 프랑스 | 4.299 |
10 | 이집트 | 3.062 |
5. 기능 및 역할
아프리카 개발 은행(AfDB)은 아프리카 대륙의 빈곤을 퇴치하고 생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해당 지역의 경제 및 사회 발전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는 프로젝트와 프로그램에 공공 및 민간 자본 투자를 장려한다.
아프리카 개발 은행(AfDB)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RMC(역내 회원국)의 사회 경제적 발전을 위한 대출과 지분 투자 제공.
- 개발 프로젝트 및 프로그램에 대한 기술 지원.
- 개발을 위한 공공 및 민간 자본 투자 촉진.
- RMC의 개발 정책 수립 지원.
또한 아프리카 개발 은행은 지역 통합을 촉진하는 데 필요한 국가 및 다국적 프로젝트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22]
6. 관리 및 통제
아프리카 개발 은행은 회원국 대표로 구성된 집행 이사회의 통제를 받는다. 이사회에서의 의결권은 각 회원국의 지분 규모에 따라 분배되며, 현재 아프리카(또는 "지역") 국가와 "비지역" 회원국("공여국") 간의 비율은 60%:40%이다. 아프리카 개발 은행의 최대 주주는 나이지리아로, 의결권의 약 9%를 보유하고 있다. 모든 회원국은 집행 이사회에 대표를 파견한다.[19]
어떤 대출과 보조금을 승인해야 하고, 아프리카 개발 은행의 업무를 어떤 정책으로 안내해야 하는지에 대한 일상적인 결정은 집행 이사회가 내린다. 각 회원국은 이사회에 대표를 파견하지만, 의결권과 영향력은 아프리카 개발 은행에 기여하는 자금의 액수에 따라 달라진다.[19]
6. 1. 총재
아킨우미 아요데지 아데시나 박사는 2015년 9월 1일에 취임하여 아프리카 개발 은행 그룹의 8대 총재로 선출되었다. 그는 아프리카 개발 은행과 아프리카 개발 기금의 이사회를 모두 의장으로 맡고 있다. 아데시나 박사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나이지리아 농업 및 농촌 개발부 장관을 역임했다.[19]회원 정부는 재무, 계획 또는 협력 장관을 통해 공식적으로 아프리카 개발 은행 이사회에 참여하며 대표된다. 아프리카 개발 은행 총재는 연 1회(매년 5월 아프리카 개발 은행 연례 회의에서) 회동하여 기관의 리더십, 전략적 방향 및 지배 기구에 대한 주요 결정을 내린다. 총재는 일반적으로 자국에서 아프리카 개발 은행 집행 이사회의 사무실에서 일할 대표를 임명한다.
2020년 6월, 아프리카 개발 은행 이사회는 아데시나의 은행 운영에 대한 검토에 합의했다. 아데시나는 2020년 8월 재선거에 출마했다. 아데시나는 2020년 8월 27일 두 번째 5년 임기를 만장일치로 재선출되었다.[20]
6. 2. 의사 결정
아프리카 개발 은행은 회원국 대표로 구성된 집행 이사회의 통제를 받는다. 이사회에서의 의결권은 각 회원국의 지분 규모에 따라 분배되며, 현재 아프리카(또는 "지역") 국가와 "비지역" 회원국("공여국") 간의 비율은 60%:40%이다. 아프리카 개발 은행의 최대 주주는 나이지리아로, 의결권의 약 9%를 보유하고 있다. 아프리카 개발 은행의 모든 회원국은 집행 이사회에 대표를 파견한다.[19]아킨우미 아요데지 아데시나 박사는 2015년 9월 1일에 취임하여 아프리카 개발 은행 그룹의 8대 총재로 선출되었다. 그는 아프리카 개발 은행과 아프리카 개발 기금의 이사회를 모두 의장으로 맡고 있다. 아데시나 박사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나이지리아 농업 및 농촌 개발부 장관을 역임했다.[19]
회원 정부는 재무, 계획 또는 협력 장관을 통해 공식적으로 아프리카 개발 은행에 대표되며, 이들은 아프리카 개발 은행 이사회에 참여한다. 아프리카 개발 은행 총재는 연 1회(매년 5월 아프리카 개발 은행 연례 회의) 회동하여 기관의 리더십, 전략적 방향 및 지배 기구에 대한 주요 결정을 내린다. 총재는 일반적으로 자국에서 아프리카 개발 은행 집행 이사회의 사무실에서 일할 대표를 임명한다.[19]
어떤 대출과 보조금을 승인해야 하고 아프리카 개발 은행의 업무를 어떤 정책으로 안내해야 하는지에 대한 일상적인 결정은 집행 이사회가 내린다. 각 회원국은 이사회에 대표를 파견하지만, 의결권과 영향력은 아프리카 개발 은행에 기여하는 자금의 액수에 따라 달라진다.[19]
2020년 6월, 아프리카 개발 은행 이사회는 아데시나의 은행 운영에 대한 검토에 합의했다. 아데시나는 2020년 8월 재선거에 출마했다.[19] 아데시나는 2020년 8월 27일 두 번째 5년 임기를 만장일치로 재선출되었다.[20]
7. 최근 동향 및 전략
아프리카 개발 은행(AfDB)은 아프리카 회원국(RMC)의 경제 발전과 사회적 진보를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매년 약 30억달러를 아프리카 국가에 지원한다.[23] 세계 은행과 같은 더 유명한 기관에 비해 대출 규모가 비교적 적고, 이들의 행보를 따르는 경향이 있어 시민 사회 단체나 학계로부터 큰 관심을 받지 못했다.
아프리카 개발 은행은 과도한 채무 부담 빈곤국에 대한 부채 경감 및 아프리카 개발을 위한 새로운 파트너십(NEPAD)과 같은 주요 이니셔티브를 지원했으며,[23] 교육 개혁과 여성의 역할 증진에도 힘쓰고 있다.
현재 코트디부아르 아비장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2016년 기준으로 약 1,865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회원국은 아프리카 54개국과 아메리카, 유럽, 아시아 26개국 등 총 80개국이다.
아프리카 개발 은행 이사회와 경영진은 AfDB가 사업에서 더 "선택적"이고 "국가 중심적"이어야 한다는 새로운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 2005년과 2006년 사이에 대출 활동은 30% 이상 증가하여 34억달러에 달했고, 같은 기간 동안 민간 부문 운영 가치는 두 배로 증가했다. 아프리카 개발 은행은 아프리카 개발을 위한 새로운 파트너십(NEPAD) 및 기타 국제기구로부터 인프라, 지역 통합, 은행 및 금융 표준과 같은 분야에서 선두를 차지하라는 임무를 부여받았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아프리카 국가의 응답자들은 아프리카 개발 은행으로부터의 추가 원조를 현저하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8]
지난 15년 동안 아프리카에서는 민주주의, 성장, 거시 경제 균형 회복과 관련하여 진전이 있었지만,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인구의 절반은 하루 1USD 미만으로 생활하고 있으며, 에이즈는 대륙의 사회 구조를 위협하고 있다. 국제 연합 밀레니엄 개발 목표 (2015년까지 빈곤 속에서 생활하고 식수를 이용할 수 없는 사람의 수를 절반으로 줄이는 것)는 북아프리카 및 남아프리카를 제외한 대부분의 경우 달성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대부분의 아프리카 국가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상당한 진전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7. 1. 중점 분야
아프리카 개발 은행은 사업에서 더 "선택적"이고 "국가 중심적"이어야 한다는 새로운 견해를 가지고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비록 명확하게 정의되지는 않았지만, 특정 대출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으로 보인다.전력 공급, 수도, 위생, 교통 및 통신을 포함한 인프라 부문은 전통적으로 아프리카 개발 은행 대출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해왔다. 2005년에는 약 9.82억달러 규모의 23개 인프라 프로젝트를 승인했으며, 이는 그 해 아프리카 개발 은행 승인의 40%를 차지했다. 공여국과 차입국으로부터 아프리카의 인프라 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아프리카 개발 은행의 인프라 대출은 향후 몇 년 동안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07년에 인프라 사업은 은행 포트폴리오의 약 60%를 차지했다.
지역 통합 인프라 프로젝트는 아프리카 개발 은행 미래 사업의 핵심 부분이 될 것이다. 아프리카 개발 은행은 아프리카 지역 경제 공동체(REC)가 주도하는 지역 통합 프로젝트인 "NEPAD 인프라 이니셔티브"를 촉진하는 주도 기관으로 지정되었다. 또한, 아프리카 개발 은행은 아프리카 인프라 컨소시엄(ICA)을 주최한다. ICA는 G8 국가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아프리카의 인프라 개발을 조정하고 장려하며, 특히 지역 인프라 개발에 중점을 둔다.
아프리카 개발 은행은 HIV/AIDS 퇴치를 위한 지원도 핵심 영역으로 삼고 있다. 아프리카 개발 은행은 건강 자금 지원을 통해 아프리카의 미래를 보장하기 위한 5가지 정책을 가지고 있다. HIV/AIDS 퇴치에 대한 은행의 기여는 이상으로 추산된다.
아프리카 전역의 에너지 서비스 접근 부족과 지속적인 고유가로 인해, 에너지 프로젝트는 아프리카 개발 은행의 인프라 작업에서 더욱 중요한 영역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아프리카 개발 은행은 현재 에너지 정책을 초안하고 있으며 G8이 의무화한 청정에너지 투자 프레임워크에 대한 기여를 개발하고 있다.
공식적인 성명이나 이에 대한 합의는 없지만, 농업, (비인프라) 농촌 개발 및 건강, 교육과 같은 사회 부문에 대한 대출은 향후 몇 년 동안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2010년에 아프리카 개발 연구소는 아프리카 개발 은행 그룹의 역량 강화를 위한 중심지가 되었다. 이 연구소는 아프리카 개발 은행이 자금을 지원하는 사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1973년에 설립되었다.[1]
아프리카 개발 은행은 세계적인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에 대응하여 빈국이 팬데믹에 대처할 수 있도록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회적 채권을 판매하는 데 점점 더 집중하고 있다.[2]
2023년, 아프리카 개발 은행 그룹은 아프리카 정책 입안자들이 기후 탄력성과 친환경 성장 정책에 대한 논의를 할 수 있도록 국가별 경제 보고서를 발표했다.[3]
7. 2. 코로나19 대응
아프리카 개발 은행은 세계적인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에 대응하여 빈국이 팬데믹에 대처할 수 있도록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회적 채권 판매에 집중하고 있다. 팬데믹 이후, 2017년부터 총 7개의 채권 외에 4개의 채권을 추가로 발행했다.[14]7. 3. 기후 변화 대응
2023년, 아프리카 개발 은행 그룹은 아프리카 정책 입안자들이 기후 탄력성과 친환경 성장 정책에 대한 논의를 할 수 있도록 국가별 경제 보고서를 발표했다.참조
[1]
웹사이트
Flag-raising ceremony marks AfDB's return to its official headquarters in Côte d'Ivoire
http://www.afdb.org/[...]
AfDB
2014-09-08
[2]
웹사이트
Ouattara Asks African Development Bank to Return HQ to Abidjan {{!}} Voice of America - English
https://www.voanews.[...]
2020-03-23
[3]
웹사이트
African Development Bank on the move
https://www.devex.co[...]
2014-09-05
[4]
웹사이트
African Development Bank (ADB)
https://www.investop[...]
2020-03-23
[5]
웹사이트
African Development Bank (AfDB)
https://www.greengro[...]
2020-03-23
[6]
Webarchive
https://web.archive.[...]
2013-01-21
[7]
웹사이트
African Development Bank (AfDB) {{!}} Devex
https://www.devex.co[...]
2020-03-23
[8]
웹사이트
African Development Bank (AfDB)
https://www.greencli[...]
2020-03-23
[9]
Webarchive
Treaty
https://treaties.un.[...]
United Nations
2018-11-05
[10]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s://www.afdb.org[...]
2023-05-09
[1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African Development Bank
https://www.afdb.org[...]
2018-11-05
[12]
웹사이트
African Development Bank Announces Record Capital Increase To $208 Billion
https://www.monitor.[...]
2019-11-01
[13]
웹사이트
Annual Report 2022
https://www.afdb.org[...]
2024-04-02
[14]
간행물
The African Development Fund
United Nations Convention to Combat Desertification
2004
[15]
웹사이트
Unclassified wire to U.S.-Abidjan Embassy
https://aad.archives[...]
US Department of State
2013-04-22
[16]
Webarchive
The African Development Bank: Tenth Replenishment of the African Development Fund, Order 2006
https://web.archive.[...]
Statutory Instrument 2006 No. 2327, Government of the United Kingdom
2007-05-02
[17]
문서
African Development Bank Group, (2005), about us, Group entities
[18]
웹사이트
Nigeria Trust Fund (NTF)
https://www.afdb.org[...]
African Development Bank
2020-10-24
[19]
웹사이트
Eye of the storm: African Development Bank chief Akinwumi Adesina
https://news.yahoo.c[...]
2020-06-06
[20]
웹사이트
Dr. Akinwumi Adesina re-elected unanimously as President of the African Development Bank Group
https://www.afdb.org[...]
2020-10-04
[21]
웹사이트
Amendment of ISO 4217 on 07 april 2011
http://www.currency-[...]
2014-06-14
[22]
웹사이트
Bank Information Center USA : African Development Bank
http://www.bicusa.or[...]
2006-04-28
[23]
웹사이트
African Union Commission calls for further financial input for the New Partnership for Africa's Development Infrastructure Project Preparation Facility (NEPAD-IPPF) Special Fund
https://www.africane[...]
2020-03-23
[24]
Webarchive
Topics, HIV/AIDS
https://web.archive.[...]
2007-02-10
[25]
웹사이트
About the African Development Institute
https://www.afdb.org[...]
2018-11-05
[26]
웹사이트
AfDB launches $463.9 million social bond
https://qz.com/afric[...]
2021-06-18
[27]
논문
Social Bonds Can Help Mitigate the Economic and Social Effects of the COVID-19 Crisis
https://openknowledg[...]
2020-08
[28]
Webarchive
What does an effective multilateral donor look like?
https://web.archive.[...]
2010-06-12
[29]
웹사이트
PM to inaugurate Annual Meetings of African Development Bank
https://www.thehindu[...]
2020-03-23
[30]
웹사이트
The Prime Minister Shri Narendra Modi will inaugurate the Annual Meetings of the African Development Bank (AfDB) on 23rd May, 2017; it is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AfDB Group that India would be hosting the Annual Meetings
https://pib.gov.in/n[...]
2020-03-23
[31]
웹사이트
African Development Bank's meet: India-Africa relationship enters new phase
https://www.hindusta[...]
2020-03-23
[32]
웹사이트
Climate Finance Day: financing a just transition
http://www.adfi-ci.o[...]
2020-03-23
[33]
웹사이트
Fact Box: 52nd Annual General Meeting of African Development Bank (AfDB)
https://currentaffai[...]
2020-03-23
[34]
웹사이트
The African Development Bank Annual Meeting in India sets new milestones for Africa-Asia relations
https://scalingupnut[...]
2020-03-23
[35]
웹사이트
52nd Annual Meeting of African Development Bank-2017, Gandhinagar (May 22-26, 2017)
https://www.mea.gov.[...]
2020-03-23
[36]
웹사이트
Annual Report 2021
https://www.afdb.org[...]
African Development Bank Group
2022-05-26
[37]
Webarchive
DISTRIBUTION OF VOTING POWER BY EXECUTIVE DIRECTOR STATEMENT OF VOTING POWER AS AT 30TH SEPTEMBER 2021
https://www.afdb.org[...]
2021-12-02
[38]
웹사이트
Development Business
http://www.devbusine[...]
2018-03-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